LIVE실시간 뉴스
LG생활건강, 영국 헤리티지의 만남 ‘유시몰 X 헌터’ 에디션 출시

UPDATA : 2025년 08월 02일

logo미디어경제뉴스
  • 증권
  • 경제
  • 산업·IT
  • 부동산
  • 정치
  • 사회
  • 문화
  • 연예
  • 지역뉴스
미디어경제
  • 증권
    • 시항
    • 특징주
    • 종목공시
    • 공모주
  • 경제
    • 기업
    • 금융
    • 정책
    • 가상화폐
    • 신제품
    • 벤처
    • 스타트업
  • 산업·IT
    • 과학·기술
    • 전자·전기
    • 자동차
    • IT
    • 인터넷·모바일
  • 부동산
    • 정책
    • 개발·분양
    • 일반
  • 정치
    • 일반
    • 국방·외교
  • 사회
    • 사회일반
    • 교육
    • 노동·복지·환경
    • 의료·건강
    • 지자체
  • 문화
    • 일반
    • 공연·전시
    • 여행·레저
  • 연예
  • 지역뉴스
검색영역
  • 지역뉴스

기본소득 지급하면 노동 저하? 금액에 상관없이 86.3% “일 계속”

김하늘

입력2025-06-17 10:55:16

공유

공유하기

  • 페이스북
  • 카카오톡
  • 주소복사
  • 주소복사
닫기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기본소득을 지급하면 노동 유인을 떨어뜨려 결국 경제에 악영향을 끼칠 것이라는 우려가 지나치다는 것을 방증하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경기연구원은 조사기관 알앤알컨설팅(주)에 의뢰해 지난 3월 26일부터 4월 19일까지 전국 성인 1만 명(경기도민 5,000명 포함)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50만원 이하 기본소득 지급시 일을 계속하겠다는 응답은 평균 80%가 넘는 반면 노동 시간을 줄이겠다는 응답은 평균 10%가 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경기연구원은 이번 여론조사 결과를 <사람들은 기본소득을 이렇게 기대한다 – 2021 기본소득 일반의식 조사 결과(Ⅱ)>에 담아 27일 발표했다.

세부 조사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월 50만원 이하의 기본소득 지급 시 일자리 변화에 대해 월 50만 원 이하의 기본소득은 경제활동을 줄이는 이유가 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응답자중에서 금액에 상관없이 ‘일을 계속한다’는 응답이 86.3%로 가장 높았고, ‘일을 줄인다’는 8.1%, ‘일을 늘린다’는 4.2%, ‘일을 그만둔다’는 1.5%가 응답했다.

금액 구간별로 살펴보면 ‘일을 계속한다’는 응답은 월 50만 원 구간까지는 80% 수준(10만 원 이하 87.7%, 11~20만 원 91.2%, 21~30만 원 90.3%, 31~40만 원 84.6%, 41~50만 원 87.2%)을 유지하는 반면, ‘일을 줄인다’는 응답은 10% 이내(10만 원 이하 5.4%, 11~20만 원 4.7%, 21~30만 원 6.2%, 31~40만 원 9.5%, 41~50만 원 9.0%)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51~100만 원 구간에서는 ‘일을 계속한다’가 78.2%, ‘일을 줄인다’가 14.0%로, 101~300만 원 구간에서는 ‘일을 계속한다’ 62.0%, ‘일을 줄인다’ 22.7%로 변화를 보였다.

기본소득을 받아 일을 줄이겠다고 응답한 808명(전체의 8.1%)의 응답자들은 여가, 자아실현, 사회적 활동 등을 위해 시간을 활용할 계획인 것으로 나타났다. 일을 줄이기를 희망하는 응답자들은 ‘여가’(39.5%), ‘자아실현’(17.1%), ‘사회적 활동’(15.7%) 순으로 시간을 사용할 것이라고 답했다. 연구원은 이런 조사결과가 기본소득이 경제정책이면서도 복지정책인 이유라며 경제활성화뿐 아니라 삶의 만족도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응답자들은 기본소득 지급으로 인한 다양한 사회효과를 기대했는데, ‘내수경제 활성화 기여’(61.2%), ‘생계 불안정 해소’(60.8%), ‘노인 빈곤 및 고독사 문제 완화’(59.3%) 순으로 기본소득의 긍정적 사회효과를 예상했다. 이는 국민 상당수가 기본소득을 단순한 복지정책이 아니라 복지형 경제정책으로 이해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연구원은 설명했다.

경기연구원은 지난 6일 ‘2021 기본소득 일반의식 조사 결과 1편을 공개하면서 응답자의 80.8%가 월 20만원 또는 월 50만원 기본소득 도입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힌 바 있다.

이들 20만 원 또는 50만 원의 기본소득에 찬성하는 그룹의 복지제도 만족도를 살펴본 결과 반대하는 그룹의 만족도보다 모든 영역에 걸쳐 일관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야별로는 건강(61.4%), 교육(49.6%), 아동돌봄(49.1%) 순으로 높았고, 주거(29.1%)와 고용(31.6%)은 상대적으로 만족도가 낮았다. 도는 복지제도의 효용을 경험한 사람일수록 기본소득 지지가 높은 것으로 분석했다.

이밖에도 응답자의 대다수는 많은 부담을 하더라도 복지확충(선별성)과 기본소득(보편성)을 동시에 받아들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월 20만 원 또는 50만 원의 기본소득에 찬성한 응답자는 ‘저소득 취약계층 집중’(33.5%)보다는 ‘모든 국민 대상’(40.1%)을, ‘저복지・저부담’(23.4%)보다는 ‘고복지・고부담’(41.3%)을 선호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유영성 단장은 “월 50만 원 수준 이상으로 기본소득 금액이 커질수록 일을 줄이거나 그만둘 수는 있지만, 월 101~300만 원의 기본소득을 지급하더라도 일을 줄이겠다는 국민은 22.7%에 불과했다”면서 “일을 줄일 수 있는 경우조차도 여가를 즐기겠다는 의견이 높은 만큼 기본소득 지급으로 경제활동이 줄어들 것이라는 우려는 바로잡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하늘 [email protected]

<저작권자 ⓒ 미디어경제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최신뉴스

  • 한미 외교장관 첫 회담…"북, 완전한 비핵화 의지 재확인"

    한미 외교장관 첫 회담…"북, 완전한 비핵화 의지 재확인"

  • ‘제1회 대한민국 산업단지 수출 박람회’ 오는 9월 킨텍스서 개최… 글로벌 시장 진출 지원

    ‘제1회 대한민국 산업단지 수출 박람회’ 오는 9월 킨텍스서 개최… 글로벌 시장 진출 지원

  • 로블록스, 판교에 상륙… 국내 첫 팝업 ‘READY, SET, ROBLOX’ 공식 오픈

    로블록스, 판교에 상륙… 국내 첫 팝업 ‘READY, SET, ROBLOX’ 공식 오픈

  • KGM, 7월 9620대 판매… 전년 동월 대비 15.7% 증가

    KGM, 7월 9620대 판매… 전년 동월 대비 15.7% 증가

  • LG생활건강, 영국 헤리티지의 만남 ‘유시몰 X 헌터’ 에디션 출시

    LG생활건강, 영국 헤리티지의 만남 ‘유시몰 X 헌터’ 에디션 출시

많이 본 뉴스

  1. 이사할 땐 ‘경기도 1인가구 주거안전 체크리스트’ 활용해 보세요

    이사할 땐 ‘경기도 1인가구 주거안전 체크리스트’ 활용해 보세요

  2. 계곡·하천 등 휴양지 내 불법행위 68건 적발

    계곡·하천 등 휴양지 내 불법행위 68건 적발

  3. 서울시, 5호선 강일역 2번 출입구 8월말 개통…주변 접근성 좋아진다

    서울시, 5호선 강일역 2번 출입구 8월말 개통…주변 접근성 좋아진다

  4. '기장 빛·물·꿈 교육행복타운' 4월 1일 문을 연다

    '기장 빛·물·꿈 교육행복타운' 4월 1일 문을 연다

  5. 술·담배 대신 사주는 ‘댈구’, 청소년 대상 성범죄 위험에도 노출

    술·담배 대신 사주는 ‘댈구’, 청소년 대상 성범죄 위험에도 노출

이시각 주요뉴스
한미 관세협상 타결…상호관세 25%→15%, 자동차·부품 15%
한미 관세협상 타결…상호관세 25%→15%, 자동차·부품 15%
이 대통령 "배임죄 남용 기업 활동 위축…'경제형벌 합리화 TF' 가동"
한미 관세협상 타결…상호관세 25%→15%, 자동차·부품 15%
이 대통령, 한미 통상 협의 현황 점검…"가장 큰 기준은 국익"
금융권, 이자장사 벗어나 '첨단산업 투자·소상공인 지원' 확대 나선다
소비쿠폰, 26일부터 출생연도 상관없이 신청…항목별 체크리스트
호우피해 수습 '통합지원센터' 운영…각종 지원사항 안내·접수
  • 언론사소개
  • 청소년보호정책
  • 이메일수집거부
  • 광고·제휴
  • 개인정보취급방침
  • 기사제보
footer logo

서울특별시 금천구 시흥대로 281 새한벤처월드 603호인터넷신문등록번호 : 서울 아04901등록일 : 2017년 12월 27일발행인 : 김민준편집인 : 김민준

제호 : 미디어경제뉴스회사명 : 미디어경제뉴스대표전화 : 02-6959-3703통신판매업번호 : 2017-서울금천-1240사업자등록번호 : 2017-서울금천-1240발행일 : 2017년 12월 27일

© 2016 Mediaec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