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VE실시간 뉴스
직능연, 일터 혁신 실태와 개선을 위한 조건들 분석

UPDATA : 2025년 07월 15일

logo미디어경제뉴스
  • 증권
  • 경제
  • 산업·IT
  • 부동산
  • 정치
  • 사회
  • 문화
  • 연예
  • 지역뉴스
미디어경제
  • 증권
    • 시항
    • 특징주
    • 종목공시
    • 공모주
  • 경제
    • 기업
    • 금융
    • 정책
    • 가상화폐
    • 신제품
    • 벤처
    • 스타트업
  • 산업·IT
    • 과학·기술
    • 전자·전기
    • 자동차
    • IT
    • 인터넷·모바일
  • 부동산
    • 정책
    • 개발·분양
    • 일반
  • 정치
    • 일반
    • 국방·외교
  • 사회
    • 사회일반
    • 교육
    • 노동·복지·환경
    • 의료·건강
    • 지자체
  • 문화
    • 일반
    • 공연·전시
    • 여행·레저
  • 연예
  • 지역뉴스
검색영역
  • 문화>
    일반

지난해 미국서 환수한 「독서당계회도」 보물 지정

박현아

입력2025-06-22 18:24:38

공유

공유하기

  • 페이스북
  • 카카오톡
  • 주소복사
  • 주소복사
닫기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문화재청은 조선 중종대 계회 그림인 「독서당계회도(讀書堂契會圖)」를 비롯해 「안성 청룡사 금동관음보살좌상(安城 靑龍寺 金銅觀音菩薩坐像)」, 「수능엄경의해 권9~15(首楞嚴經義海 卷9~15」, 「이항복 해서 천자문(李恒福 楷書 千字文)」 등 고려시대 불상과 전적문화재 총 4건에 대해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하였다.

보물 「독서당계회도」는 조선 중종대인 1516년부터 1530년까지 독서당에서 사가독서를 했던 현직 관료들의 모임을 기념하여 그린 작품이다. 하단 좌목(座目)에 언급된 인물들의 관직을 「조선왕조실록」 및 각종 문집에서 확인한 결과 1531년(중종 26) 경에 모임이 열린 것으로 여겨짐에 따라 이 그림도 당시 그려진 것으로 추정된다.
* 사가독서: 젊고 유능한 문신을 선발해 휴가를 주어 공무 대신 학문에 전념하도록 했던 인재양성책으로, 세종 때 처음 시행되었고 존폐를 거듭하다 중종이 재개함
* 독서당: 처음 사가독서가 시행되었을 때는 자택에서 독서하도록 하였다가 전용공간으로 성종 때 마포에 남호독서당, 중종 때 두모포에 동호독서당 등이 마련되었음
* 계회: 과거시험 합격 동기 또는 같은 관청에 함께 근무한 동료들끼리의 모임 등을 뜻함
* 좌목: 관리들이 모였을 때 앉는 차례나 또는 그것을 적은 목록

한 폭의 족자 형태로 꾸며진 「독서당계회도」는 화면 맨 위에 ‘독서당계회도(讀書堂契會圖)’라는 제목이 한자의 대표 서체 중 하나인 전서체로 적혀 있으며, 가운데 그림은 두모포(豆毛浦) 일대의 자연 풍광과 사가독서의 공간이었던 독서당, 사가독서했던 주인공들이 한강에서 뱃놀이하는 장면을 묘사하고 있다. 먹을 위주로 하여 묘사한 산수는 조선 전기 화가 안견의 화풍을 추종한 산수화 유파인 안견파(安堅派)의 화풍을 잘 보여주며, 멀리 있는 산은 남동석을 원료로 한 석청 안료를 사용해 짙은 청색으로 표현한 조선 전기의 귀중한 예이다. 화면 아래 좌목에는 계회 참석자 12명의 명단이 보이는데 이들의 호(號), 이름, 자(字), 본관, 생년, 사가독서 연도, 과거 급제 연도, 부친이나 형제 등의 인적사항 등이 정자로 바르게 쓴 한문서체인 해서체로 기록되어 있다.
* 두모포(豆毛浦): 지금의 서울시 옥수동 한강변 일대로 동호대교 북단 근처

이 작품은 지난해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이 미국에서 환수한 것으로, 보물로 이미 지정되어 있는 다른 계회도 13점과 비교하여 시기적으로 두 번째로 제작된 작품이지만, 후대 제작된 계회도의 전형적인 형식인 상단 표제·중단 그림·하단 좌목 형태로는 제작시기가 가장 앞서는 작품이라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아울러 상상 속의 이상적 풍경을 그린 그림이자 조선 초기에 성행한 관념산수화와는 다르게 실제 한강 주변의 풍경을 그린 실경산수화의 시원 양식을 유추케 한다는 점 등에서 역사적, 미술사적 가치가 높다.
* 시원: 사물, 현상 따위가 시작되는 처음
* 전형: 동일한 범주의 특징을 보편적으로 나타냄

보물 「안성 청룡사 금동관음보살좌상」은 고려 후기(14세기)에 제작된 보살상으로, 머리에 화려한 보관을 쓰고 통견을 입었으며 대좌 위에 완전히 책상다리를 하고 앉아 있는 결가부좌를 하고 있다. 오른손은 들고 왼손은 내려 각각 검지와 중지를 맞댄 설법인(說法印)의 수인(手印)을 하고 있다.
※ 보관(부처님 머리에 쓰는 관)과 대좌(불상을 올려두는 받침)는 후대에 새로 만든 것임.

이 보살좌상은 갸름한 얼굴에 복스러운 얼굴 표정, 보계와 귀걸이, 고개를 앞으로 내민 구부정한 자세 등의 표현에서 고려 후기 전통양식으로 이해되는 일군(一群)의 보살상과 유사성을 보인다. 동시에 다소 좁고 왜소한 어깨, 긴 허리, 높은 무릎 등의 표현은 고려 후기에서 조선 전기로 넘어가는 과도기의 변화하는 전통양식을 보여주는 귀중한 연구자료로서 가치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양식의 보살좌상이 대부분 나무로 만들어진 데 반해 드물게 금동으로 제작되었다는 점, 복장에서 발견된 중수발원문에 보이는 기록을 통해 그 내력을 확인할 수도 있다는 점 등에서 점 등에서 역사적, 미술사적 가치가 높다.
보물 「수능엄경의해 권9~15」는 인도 승려 반라밀제(般剌密諦: 極量)가 중국 당나라로 전래하여 한역한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 10권을 중국 남송의 함휘(咸輝, ?~?)가 30권으로 엮은 주해서(註解書) 중 권9~15에 해당하는 경전이다. 해당 경전의 간행시기·간행처, 간행자 등을 적은 각 권말의 간기(刊記)를 통해 조선 세조 8년(1462) 간경도감에서 경판을 만들어 간행된 사실을 알 수 있다.
* 주해서: 본문의 뜻을 알기 쉽게 풀이한 책
* 간경도감: 1461년(세조 7)부터 1471년(성종 2)까지 불경의 번역과 간행을 담당하던 임시 관청
* 경판: 나무나 금속에 불경을 새긴 판

해당 경판은 현재 전하지 않고, 이 경판으로 인출한 인경본(印經本)도 많지 않다. 때문에 지정 예고 대상 「수능엄경의해 권9~15」는 전 30권 판본의 4분의 1에 해당하는 비교적 많은 양을 온전하게 갖추고 있을 뿐 아니라, 국내에서 처음 공개되는 유일한 권수로 희귀성이 있는 귀중한 학술적 자료로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인쇄 상태도 뛰어나고 보존 상태도 양호하다.

보물 「이항복 해서 천자문」은 1607년(선조 40) 이항복(李恒福, 1556~1618)이 손자 이시중(李時中, 1602∼1657)의 교육을 위해 직접 써서 내려준 천자문이다. 이 천자문은 총 126면의 분량으로, 본문 125면과 발문 1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앞 면지 이면에 2개의 백문방인(白文方印)인 ‘청헌(聽軒)’과 ‘월성세가(月城世家)’가 찍혀 있는데, ‘청헌’은 이항복의 6대 종손인 이경일(李敬一, 1734∼1820)의 호이다. 본문은 한 면에 2행으로 행마다 4자씩 8자를 125면에 1,000자를 썼는데 서체는 해서이며, 각 글자 아래에는 한글로 음과 뜻을 달아 놓았는데 이것은 후대에 서사한 것으로 보인다.
* 백문방인: 찍었을 때 글씨가 하얗게 나오는 네모난 모양의 인장

책의 끝에는 “정미년(1607년) 이른 여름(음력 4월) 손자 이시중에게 써 준다. 오십 노인이 땀을 뿌리고 고생을 참으며 썼으니 골짜기에 던져서 이 뜻을 저버리지 마라[丁未首夏, 書與孫兒時中. 五十老人, 揮汗忍苦, 毋擲牝以孤是意]”고 이항복이 행초서로 쓴 발문(跋文)이 남아 있다. 이를 통해 제작자와 제작시기를 명확히 알 수 있으며, 이항복이 후손 교육에 쏟은 관심과 애정을 확인할 수 있다.
* 행초서: 약간 흘려 쓴 한자 서체인 행서(行書)와 곡선 위주의 흘림체인 초서(草書)로 구성된 서체

「이항복 해서 천자문」은 한 글자가 약 8cm로 가장 크고, 시기도 가장 이른 육필 천자문으로 서예사적으로 중요한 자료이다. 또한 한자 밑의 한글 음과 뜻은 이 시기 한글 변천을 연구하는 데 있어 중요한 국어사적 자료라 평가된다.

문화재청은 이번에 보물로 지정된 「독서당계회도」, 「안성 청룡사 금동관음보살좌상」, 「수능엄경의해 권9~15」, 「이항복 해서 천자문」를 해당 지방자치단체, 소유자(관리자) 등과 적극행정의 자세로 협조해 체계적으로 보존・활용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다.



박현아 [email protected]

<저작권자 ⓒ 미디어경제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최신뉴스

  • 직능연, 일터 혁신 실태와 개선을 위한 조건들 분석

    직능연, 일터 혁신 실태와 개선을 위한 조건들 분석

  • LH주거복지정보, 한국폴리텍 대학과 AI기반 주거복지서비스 고도화 업무협약 체결

    LH주거복지정보, 한국폴리텍 대학과 AI기반 주거복지서비스 고도화 업무협약 체결

  • 현대자동차 ‘2026 캐스퍼·캐스퍼 일렉트릭’ 출시

    현대자동차 ‘2026 캐스퍼·캐스퍼 일렉트릭’ 출시

  • 기아, 재생에너지 전력 공급 확대로 RE100 추진 가속화

    기아, 재생에너지 전력 공급 확대로 RE100 추진 가속화

  • 아케이드 리듬 게임 ‘펌프 잇 업’ 시리즈 최초로 Steam 플랫폼 진출

    아케이드 리듬 게임 ‘펌프 잇 업’ 시리즈 최초로 Steam 플랫폼 진출

많이 본 뉴스

  1. 서울시, 청년을 위한 2019년 상반기 블루터치 콘서트 ‘선물’ 개최

    서울시, 청년을 위한 2019년 상반기 블루터치 콘서트 ‘선물’ 개최

  2. 2019 FIFA 프랑스 여자월드컵 특별 전시관 넬슨 만델라 공원에 개관

    2019 FIFA 프랑스 여자월드컵 특별 전시관 넬슨 만델라 공원에 개관

  3. MTPR X BTS 컬러렌즈 6월 27일 출시

    MTPR X BTS 컬러렌즈 6월 27일 출시

  4. 문화재청, 천연기념물 '쌍향수' 기념메달 판매

    문화재청, 천연기념물 '쌍향수' 기념메달 판매

  5. 키블리, 4월 한 달간 MY KIVULI 글로벌 캠페인 진행

이시각 주요뉴스
AI 유니콘 육성 본격 시동…6000억 원 내외 벤처펀드 조성
AI 유니콘 육성 본격 시동…6000억 원 내외 벤처펀드 조성
금융당국, 주가조작 근절 '합동대응단' 가동…불공정거래 '원스트라이크 아웃'
AI 유니콘 육성 본격 시동…6000억 원 내외 벤처펀드 조성
입셀, 유도만능줄기세포 분양으로 이틀 만에 60억원 ‘잭팟’… 총 68.5억원 대형 계약 잇따라
HD현대인프라코어, K2 전차 엔진 923억원 대규모 수주
코로나 위험도 12주 연속 ‘낮음’… “신종감염병 대비에도 박차”
삼성전자, 세계 최초 ‘6세대(1xx) V낸드 SSD’ 양산
  • 언론사소개
  • 청소년보호정책
  • 이메일수집거부
  • 광고·제휴
  • 개인정보취급방침
  • 기사제보
footer logo

서울특별시 금천구 시흥대로 281 새한벤처월드 603호인터넷신문등록번호 : 서울 아04901등록일 : 2017년 12월 27일발행인 : 김민준편집인 : 김민준

제호 : 미디어경제뉴스회사명 : 미디어경제뉴스대표전화 : 02-6959-3703통신판매업번호 : 2017-서울금천-1240사업자등록번호 : 2017-서울금천-1240발행일 : 2017년 12월 27일

© 2016 Mediaec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