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VE실시간 뉴스
현대로템, 부산 신항 7부두에 항만 AGV 57대 공급

UPDATA : 2025년 07월 17일

logo미디어경제뉴스
  • 증권
  • 경제
  • 산업·IT
  • 부동산
  • 정치
  • 사회
  • 문화
  • 연예
  • 지역뉴스
미디어경제
  • 증권
    • 시항
    • 특징주
    • 종목공시
    • 공모주
  • 경제
    • 기업
    • 금융
    • 정책
    • 가상화폐
    • 신제품
    • 벤처
    • 스타트업
  • 산업·IT
    • 과학·기술
    • 전자·전기
    • 자동차
    • IT
    • 인터넷·모바일
  • 부동산
    • 정책
    • 개발·분양
    • 일반
  • 정치
    • 일반
    • 국방·외교
  • 사회
    • 사회일반
    • 교육
    • 노동·복지·환경
    • 의료·건강
    • 지자체
  • 문화
    • 일반
    • 공연·전시
    • 여행·레저
  • 연예
  • 지역뉴스
검색영역
  • 문화>
    일반

추사의 마지막 난초 그림 「김정희 필 불이선란도」 보물 지정 예고

박현아

입력2025-06-22 06:35:31

공유

공유하기

  • 페이스북
  • 카카오톡
  • 주소복사
  • 주소복사
닫기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문화재청은 추사 김정희의 마지막 난초 그림인 「김정희 필 불이선란도(金正喜 筆 不二禪蘭圖)」를 비롯해 「기장 고불사 영산회상도(機張 古佛寺 靈山會上圖)」, 「파주 보광사 동종(坡州 普光寺 銅鍾)」, 「불조삼경(佛祖三經)」 등 조선시대 불화・동종・전적 총 4건에 대해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 예고하였다.

보물로 지정 예고된 「김정희 필 불이선란도」는 10대 때부터 묵란(墨蘭)을 즐겨 그렸던 김정희(金正喜, 1786~1856)가 난초를 서예의 필법으로 그려야 한다는 자신의 이론을 실천적으로 보여준 작품이다. 달준(達夋)이라는 인물에게 그려준 이 작품은 화면 가운데 난초를 옅은 담묵으로 그리고, 주변에 회화사상 보기 드문 수준의 높은 격조(格調)를 담은 제발(題跋)을 4군데에 썼다. 글씨는 여러 서체를 섞어 썼으며, 글자 모양과 크기에 차이가 있다.
* 격조: 품격과 취향
* 제발: 그림의 제작 배경, 감상평 등을 기록한 것

19세기 문화사를 상징하는 김정희의 학문과 예술 세계를 종합적으로 대변하는 작품으로 높은 예술적・학술적 의의를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인장을 통해 전승 내력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큰 의미가 있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보물로 지정 예고된 「기장 고불사 영산회상도」는 화기에 있는 기록을 통해 1736년(영조 12)에 제작된 것을 명확히 알 수 있는 불화이다. 제작한 화승이 기록되어 있지 않으나 특색 있는 머리 모양, 여래를 중심으로 짜임새 있고 안정적으로 구성된 구도와 배치, 채도가 낮은 적색과 녹색의 강한 대비 등으로 볼 때 경북지역, 특히 팔공산 일원에서 활약한 의균(義均) 등의 화승이 제작한 것으로 보인다.
* 화기: 그림의 제작동기, 제작자, 제작시기, 봉안처 등 여러 중요 정보가 담긴 기록

영축산에서 석가모니불이 법화경을 설법하는 순간을 비단 바탕에 색을 칠해 표현하였는데, 꽃잎형 광배를 갖추고 불단 형식 대좌에 결가부좌한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문수보살과 보현보살, 지장보살 등 8위의 보살과 사천왕, 십대제자 등의 권속들을 위계와 역할에 맞게 좌우로 배치하였다.
* 영축산: 석가모니가 설법했던 영산불국(靈山佛國)을 의미하며 영산이라고도 함
* 광배: 부처의 몸에서 나오는 성스러운 빛을 형상화한 것
* 불단: 법당 정면에 불상을 모시기 위해 만든 제단으로 수미단이라고도 함
* 대좌: 부처님이 앉거나 서는 자리
* 결가부좌: 부처님이 앉는 자세 가운데 하나로 오른발을 왼쪽 허벅지 위에 얹은 다음 왼발을 오른 허벅지 위에 얹어 앉는 자세

석가모니불을 주존으로 한 영산회상도이면서 권속으로 아미타팔대보살에 속하는 지장보살을 표현하였는데, 이러한 형식은 19세기 경상도 일대와 서울, 경기도에서 제작되는 후불도의 한 유형이다. 제작시기가 그보다 앞선 18세기 전반인 것으로 보아, 이러한 형식을 가진 후불도의 최초 제작시점을 알 수 있다는 점에서 미술사적 의의를 지닌다. 또한 석가 신앙과 아미타 신앙의 융합을 보여주는 자료로써 조선 후기 불화의 형식과 신앙 변화를 연구하는데 중요한 작품이다. 더불어 도설된 내용과 화기에 기록된 화제가 일치하여 18세기 전반 영산회상도 도상 연구의 기준이 되므로 보물로 지정할 가치가 있다.
* 후불도: 법당 중앙에 신앙 대상인 불상을 봉안하고 그 뒤에 거는 불화
* 도설: 그림을 곁들여 설명함
* 도상: 종교나 신화적 주제를 표현한 미술 작품에 나타난 인물 또는 형상

보물로 지정 예고된 「파주 보광사 동종」은 주성기(鑄成記)를 통해 천보(天寶)가 청동 300근을 들여 1634년(인조 12) 제작하였음을 명확히 알 수 있는 동종이다. 중국종의 형식에 우리 고유의 미감을 반영하는 조선 전기(15~16세기) 동종의 새로운 양식을 충실히 계승하고 있다.
* 주성기: 종의 제작 배경, 제작자, 재료 등의 내용을 담은 기록
* 천보: 16세기 후반에서 17세기 전반에 활역한 승려 장인

세 줄로 만든 횡대로 종 몸체가 상단과 하단으로 나뉘는데, 상단에는 분할주조방식을 엿볼 수 있는 형틀 분리의 모습이 보이며, 하단에는 반듯한 해서체로 적은 주성기가 보이는데 이를 통해 동종의 제작연대와 목적, 봉안 지역과 사찰, 발원자와 후원자, 장인과 재료 등 중요하고 다양한 내력이 분명하게 확인되어 사료적・학술적 가치가 크다.

또한, 천보(天寶)의 마지막 작품으로 조선 전기에서 후기로의 과도기적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공예사적으로 의미가 있으며, 조선 후기 동종 제작기법 연구에 있어서도 중요한 자료이다. 또한 원 봉안처를 떠나 옮겨지는 일이 많은 다른 동종들과 달리 최초 봉안처에서 온전히 그 기능을 수행하며 잘 보전되어 온 점에서 그 역사성도 인정될 수 있어 보물로 지정할 가치가 충분하다.

보물로 지정 예고된 석왕사 소장 「불조삼경」은 원나라 판본을 바탕으로 1361년(공민왕 10) 전주의 원암사(圓嵓寺)에서 번각한 목판본이다. 중국 원나라 고승인 몽산(蒙山) 덕이(德異, 1231~1308)가 석가(釋迦)와 조사(祖師)가 설법(說法)한 3가지의 경전을 결집한 불서(佛書)이다. 불교의 교훈적 가르침을 쉽게 설명하고 있어 불교 경전을 처음 접하는 초학자에게 크게 도움을 주는 경전으로 알려져 있다.

‘불조삼경’의 고려시대 판본은 현재 3종만이 알려져 있다. 시기적으로 가장 앞선 1341년(충혜왕 복위 2)의 정각사 판본, 1361년(공민왕 10) 전주 원암사에서 간행된 판본 및 1384년(우왕 10)에 간행된 판본이 현존하고 있다. 이번에 지정 예고된 석왕사 소장 「불조삼경」은 이미 보물로 지정된 타 소장본보다 인쇄 및 보존상태 등 선본(善本)으로서의 가치가 인정되므로 보물로 지정할 가치가 충분하다.

문화재청은 이번에 보물로 지정 예고된 「김정희 필 불이선란도」, 「기장 고불사 영산회상도」 등 4건에 대해 30일간의 예고 기간 중 각계의 의견을 수렴·검토하고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국가지정문화재(보물)로 지정할 예정이다.



박현아 [email protected]

<저작권자 ⓒ 미디어경제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최신뉴스

  • 삼성전자 ‘갤럭시 Z 폴드7·Z 플립7’ 프로야구 연계 마케팅 진행

    삼성전자가 폴더블 신제품 ‘갤럭시 Z 폴드7·Z 플립7’을 활용해 △삼성 라이온즈 △KT 위즈 △두산 베어스 프로야구 3개 구단과 함께 다양한 이벤트를 진행한다.특히 삼성전자는 구단별 특화 프로그램을 마련해 프로야구 팬들에게 경기 관람의 즐거움을 더하고 응원 열기까지 한층 끌어올릴 예정이다.삼성 라이온즈, ‘갤럭시 Z 폴드7’ 전용 좌석 및 홈런존 이벤트 운영삼성전자는 17일부터 정규 시즌 기간 동안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에 ‘갤럭시 Z 폴드7’과 함께 하는 ‘갤럭시 Z 폴드7’ 전용 좌석과 ‘갤럭시 홈런존’을 운영한다.관람객들은 ‘갤럭시 Z 폴드7’이 설치된 루프탑석 좌석에서 ‘갤럭시 Z 폴드7’의 대화면으로 야구 중계를 감상하며 직관 인증사진을 촬영하는 등 ‘멀티태스킹’을 경험할 수 있다.‘갤럭시 Z

  • 현대로템, 부산 신항 7부두에 항만 AGV 57대 공급

    현대로템, 부산 신항 7부두에 항만 AGV 57대 공급

  • 더존비즈온 ‘AWS·앤트로픽’과 AI 분야 글로벌 협력

    더존비즈온 ‘AWS·앤트로픽’과 AI 분야 글로벌 협력

  • 요즘 제일 힙한 취향, 불교코어… 불교 감성 굿즈·브랜드 2025부산국제불교박람회로 총출동

    요즘 제일 힙한 취향, 불교코어… 불교 감성 굿즈·브랜드 2025부산국제불교박람회로 총출동

  • 써모스, 여름 인기 텀블러·돌봄 도시락 기획전 ‘얼른 써모스’ 진행

    써모스, 여름 인기 텀블러·돌봄 도시락 기획전 ‘얼른 써모스’ 진행

많이 본 뉴스

  1. 서울시, 청년을 위한 2019년 상반기 블루터치 콘서트 ‘선물’ 개최

    서울시, 청년을 위한 2019년 상반기 블루터치 콘서트 ‘선물’ 개최

  2. 2019 FIFA 프랑스 여자월드컵 특별 전시관 넬슨 만델라 공원에 개관

    2019 FIFA 프랑스 여자월드컵 특별 전시관 넬슨 만델라 공원에 개관

  3. MTPR X BTS 컬러렌즈 6월 27일 출시

    MTPR X BTS 컬러렌즈 6월 27일 출시

  4. 문화재청, 천연기념물 '쌍향수' 기념메달 판매

    문화재청, 천연기념물 '쌍향수' 기념메달 판매

  5. 키블리, 4월 한 달간 MY KIVULI 글로벌 캠페인 진행

이시각 주요뉴스
AI 유니콘 육성 본격 시동…6000억 원 내외 벤처펀드 조성
AI 유니콘 육성 본격 시동…6000억 원 내외 벤처펀드 조성
금융당국, 주가조작 근절 '합동대응단' 가동…불공정거래 '원스트라이크 아웃'
AI 유니콘 육성 본격 시동…6000억 원 내외 벤처펀드 조성
입셀, 유도만능줄기세포 분양으로 이틀 만에 60억원 ‘잭팟’… 총 68.5억원 대형 계약 잇따라
HD현대인프라코어, K2 전차 엔진 923억원 대규모 수주
코로나 위험도 12주 연속 ‘낮음’… “신종감염병 대비에도 박차”
삼성전자, 세계 최초 ‘6세대(1xx) V낸드 SSD’ 양산
  • 언론사소개
  • 청소년보호정책
  • 이메일수집거부
  • 광고·제휴
  • 개인정보취급방침
  • 기사제보
footer logo

서울특별시 금천구 시흥대로 281 새한벤처월드 603호인터넷신문등록번호 : 서울 아04901등록일 : 2017년 12월 27일발행인 : 김민준편집인 : 김민준

제호 : 미디어경제뉴스회사명 : 미디어경제뉴스대표전화 : 02-6959-3703통신판매업번호 : 2017-서울금천-1240사업자등록번호 : 2017-서울금천-1240발행일 : 2017년 12월 27일

© 2016 Mediaec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