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피니언, 퀄컴과 협력하여 3D 인증 용 고품질 표준 솔루션 제공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코리아 대표이사 이승수)가 퀄컴(Qualcomm Technologies)과 협력하여 퀄컴 스냅드래곤 865(Qualcomm Snapdragon 865) 모바일 플랫폼 기반의 3D 인증 용 레퍼런스 디자인을 개발했다고 밝혔다.인피니언의 REAL3 3D ToF(Time-of-Flight) 센서를 채택한 레퍼런스 디자인은 스마트폰 제조사들을

대우조선해양, 차세대 첨단함정 스마트 기술 개발 박차
대우조선해양이 대한민국 해군의 차세대 첨단함정에 적용될 스마트 기술 개발에 선도적으로 나서고 있다.대우조선해양(대표이사 이성근)은 해군, 산업계, 학계, 정부출연연구소의 스마트함정 기술 전문가들과 연구결과를 공유하고 기술 개발을 가속화하기 위한 스마트함정 기술협의회를 개최했다고 29일 밝혔다. 기술협의회에는 해군 미래혁신연구단, 고려대학교, 한국기계연구원(

국가센터, 10대 전략 등 청사진 마련...2030년 슈퍼컴퓨터 강국 도약
4차 산업혁명시대를 맞아 우리나라를 ‘슈퍼컴퓨터’ 강국으로 이끌 청사진이 나왔다.오는 2030년 초고성능컴퓨팅 강국 도약 목표로 중점 육성할 10대 전략 분야를 제시하고, 현재 세계 21위 수준인 국가센터 5호기를 세계 5위권 수준의 국가센터 6호기, 7호기로 순차적으로 교체·운영하기로 했다.또 엑사급 초고성능컴퓨터를 설계부터 제작·설치까지 독자적으로 구축

코로나19 상황에서도 국내 ICT기업 연구개발비 7200억 증가
2020년 국내 ICT기업들의 연구개발비 투자는 전년도 41조 4400억원보다 1.7% 증가한 7200억원이 더해져 총 42조 1600억원인 것으로 조사됐다.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0년 국내 ICT기업들의 연구개발 활동을 분석한 결과, 연구개발비 투자는 물론 연구개발 인력도 전년도 17만 9500명에서 5.6%에 해당하는 1만명이 더해져 18만 9600명

내년 '차세대 발사체' 개발 착수...국가 전략기술 5년간 25조 투자
정부가 내년에 우주항공청 설립 특별법을 제정하고 차세대 발사체 개발을 착수하는 등 우주경제를 본격적으로 가동한다. 국가 전략기술 육성을 위한 연구개발(R&D)에 내년부터 2027년까지 25조원을 투자하고, 민관 합동의 R&D 프로젝트도 추진한다. 또 양자, 첨단바이오, 탄소중립, 6G, 메타버스·블록체인 핵심기술을 중점 육성하고 2027년까지 석

“첨단 우주부품 국산화”…‘스페이스 파이오니어사업’ 신설
정부가 첨담 우주부품 국산화를 통해 우주산업 육성을 가속화하기 위해 10년간 총 2115억 원을 투입한다.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발사체, 위성에 적용되는 첨단 우주 부품의 국산화를 지원하기 위해 ‘스페이스 파이오니어사업’을 신설한다고 27일 밝혔다.내년부터 2030년까지 10년간 총 2115억원의 사업비를 투입할 예정인 이 사업은 27일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해

과학자부터 SF작가·철학자까지 모여 ‘R&D 프로젝트’ 발굴
정부는 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 글로벌 혁신성장을 선도하기 위해 범부처 차원의 프로젝트를 본격 착수해 과감하고 도전적인 연구개발에 나선다.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혁신본부는 미래 우리나라에 사회·경제적 파급력이 클 도전적 연구과제를 설정하고, 산학연의 과학기술 역량을 총집결해 혁신적 연구성과를 창출해 나가는 ‘범부처 혁신도전 프로젝트(가칭)’ 연구주제 발굴에

철도연, 미니트램 차세대 에너지저장시스템 개발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이하 철도연, 원장 나희승)은 성균관대 박호석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미니트램의 운영 효율성을 높이는 차세대 에너지저장 시스템을 개발했다.▲ 미니트램, 수요응답형 친환경 전기구동 신교통 시스템미니트램은 택시처럼 승객의 호출에 따라 배차되고, 철도교통의 중앙관제시스템에 의해 무인자동으로 운행되는 새로운 대중교통 시스템이다. 최대 탑승 인원은

현대중공업, 동해에 그린수소 생산플랜트 구축
현대중공업이 미래 에너지원인 친환경 그린수소 생산을 위한 해상 플랜트 개발에 나서며 그룹의 ‘수소밸류체인’ 구축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현대중공업은 6일(목) 울산시 테크노산업단지에서 울산시·울산테크노파크·울산상공회의소·한국석유공사·SK가스·한국동서발전·세진중공업·울산과학기술원(UNIST) 등 9개 지자체 및 산학연 기관과 ‘부유식 해상풍력 연계 100MW

LG CNS, ‘XYZ로보틱스’ 맞손 … 로봇 통합운영 플랫폼 사업 강화
DX전문기업 LG CNS가 로봇 통합운영 플랫폼 사업을 강화한다. LG CNS는 최근 마곡 LG CNS 본사에서 AI기반 로봇 솔루션 기업 ‘XYZ로보틱스’와 업무협약(MOU)을 맺고, 국내 물류센터의 로봇사업을 공동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XYZ로보틱스는 로봇의 눈에 해당하는 3D비전 분야에서 우수한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로봇의 손에 해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