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퓨얼셀, KT와 ‘연료전지 사업 확대’ 위한 업무협약 체결

두산퓨얼셀, KT와 ‘연료전지 사업 확대’ 위한 업무협약 체결

▲ 지능형 연료전지 플랫폼 개념도두산퓨얼셀과 KT는 14일, 서울 중구 노보텔 앰배서더 호텔에서 ‘연료전지 사업 확대와 AI(인공지능) 무인운전 플랫폼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다.이번 협약을 통해 두 회사는 두산퓨얼셀의 연료전지에 KT의 AI 기술을 접목해 ‘연료전지용 지능형 무인운전 플랫폼’을 공동 개발하고 연료전지 운전을 무인화한다는 계획이다.

대한전선, 미국서 3년 장기 계약 추가… 올해 총 7200억원 수주 돌파

대한전선, 미국서 3년 장기 계약 추가… 올해 총 7200억원 수주 돌파

대한전선이 미국 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공고히하며 연이은 수주 성과를 올리고 있다.대한전선은 미국 현지 판매법인인 T.E.USA가 미국 서부 지역에서 케이블 장기 공급 프로젝트를 수주했다고 5일 밝혔다. 1년간 300억원 규모의 전력 케이블을 공급하며, 최장 3년 동안 최대 900억원의 케이블을 공급할 예정이다.이와 함께 미국 동부에서도 약 200억원 규모

으뜸효율 가전제품 사면 구매비 10% 돌려받는다

으뜸효율 가전제품 사면 구매비 10% 돌려받는다

오는 23일부터 에너지효율이 우수한 가전제품을 구입하면 구매가의 10%, 1인당 최대 30만원씩 돌려받을 수 있다.산업통상자원부는 ‘으뜸효율 가전제품 구매비용 환급사업’을 오는 23일부터 전국민을 대상으로 시행한다고 19일 밝혔다.이를 위해 지난해(300억) 대비 크게 증액한 1500억원의 예산을 추경을 통해 확보했다.올해 환급 대상 가전제품은 TV, 에어

전기차 보급 및 충전 인프라 확대 … 싱가포르 전동화 정책 공동연구 실시

전기차 보급 및 충전 인프라 확대 … 싱가포르 전동화 정책 공동연구 실시

현대자동차그룹이 전기차 보급 및 충전 인프라 확대 등 싱가포르 전동화 생태계 구축과 함께 동남아시아에 전기차 배터리 구독 서비스(BaaS, Battery as a Service) 사업 발판 마련에 나선다.현대자동차그룹은 최근 SP그룹 본사(싱가포르)에서 현대자동차그룹 SF이노베이션센터장 정홍범 전무, SP그룹 친환경에너지부문 추아키헹(Chuah Kee He

동원시스템즈 ‘인터배터리 2025’ 참가… 2차전지 사업 성장 박차

동원시스템즈 ‘인터배터리 2025’ 참가… 2차전지 사업 성장 박차

동원시스템즈가 5일부터 7일까지 서울시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리는 국내 최대 배터리 전시회 ‘인터배터리 2025’에 참가해 2차전지 소재 사업의 경쟁력을 알린다고 밝혔다.동원시스템즈는 미래 성장동력으로 육성 중인 2차전지 소재 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번 전시회를 통해 양극박, 원통형 캔, 셀파우치 등 다양한 2차전지 소재 포트폴리오와 독자 기술·R&D

대한전선, 해저케이블 포설선 510억 규모 첫 용선 계약… 신규 수익원 확보

대한전선, 해저케이블 포설선 510억 규모 첫 용선 계약… 신규 수익원 확보

대한전선이 포설선 용선 사업의 물꼬를 트며 가시적인 성과를 내기 시작했다. 대한전선은 지난 4일 ㈜해천과 해저케이블 포설선의 용선(傭船, chartering) 계약을 체결했다고 5일 밝혔다. 용선 기간은 오는 7월부터 2025년 10월까지 총 16개월이며, 용선 금액은 510억 원에 달한다. 이번 계약에 따라 해천은

삼성전자, D램에 EUV 첫 적용…고객사에 모듈 100만개 공급

삼성전자, D램에 EUV 첫 적용…고객사에 모듈 100만개 공급

삼성전자가 업계 최초로 D램에 EUV 공정을 적용해 양산 체제를 갖췄다.삼성전자가 EUV 공정을 적용해 생산한 1세대(1x) 10나노급(1나노 : 10억분의 1미터) DDR4(Double Data Rate 4) D램 모듈 100만개 이상을 공급하여 글로벌 고객의 평가를 완료했다.이로써 삼성전자는 메모리 업계 최초로 차세대 D램 제품부터 ‘EUV 공정’을 전

삼성전자, 평택 2라인에 낸드플래시 생산라인 투자

삼성전자, 평택 2라인에 낸드플래시 생산라인 투자

삼성전자가 평택캠퍼스 2라인에 낸드플래시 생산라인을 구축하는 투자를 단행한다.삼성전자는 5월 평택 2라인에 낸드플래시 생산을 위한 클린룸 공사에 착수했으며, 2021년 하반기 양산을 시작할 계획이다.▲ 평택캠퍼스 P2 라인 전경이번 투자는 AI, IoT 등 4차 산업혁명 도래와 5G 보급에 따른 중장기 낸드수요 확대에 대응하기 위해서다.특히 최근 ‘언택트’

삼성전자, 최첨단 EUV 시스템반도체에 3차원 적층 기술 업계최초 적용

삼성전자, 최첨단 EUV 시스템반도체에 3차원 적층 기술 업계최초 적용

삼성전자가 업계최초로 7나노 EUV 시스템반도체에 3차원 적층 패키지 기술인 ‘X-Cube(eXtended-Cube)’를 적용한 테스트칩 생산에 성공했다.이로써 삼성전자는 최첨단 EUV 초미세 전공정뿐 아니라 후공정에서도 첨단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게 됐으며, 이는 ‘반도체 비전 2030’을 달성하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X-Cube’는 전공정

삼성전자, 차세대 시스템 반도체 적용 가능한 AI 연구 집중

삼성전자, 차세대 시스템 반도체 적용 가능한 AI 연구 집중

삼성전자가 1일(현지시간) 캐나다 몬트리올에 위치한 밀라 연구소 건물로 ‘종합기술원 몬트리올 AI 랩(이하 몬트리올 AI 랩)’을 확장이전하며 미래 인공지능 분야의 근원적 혁신기술 연구를 강화한다고 밝혔다. 밀라 연구소는 딥러닝분야의 세계 3대 석학 중 한 명인 요슈아 벤지오(Yoshua Bengio) 교수를 주축으로 몬트리올대, 맥길대 연구진 그리고 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