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생활용기이자 각지의 일품(一品) 먹거리를 운반하는 그릇으로 사용되어온 고려도기의 생생한 모습을 선보이는 특별전「고려도기 - 산도해도 주재도기(山島海道 舟載陶器) -」를 9월 5일(화)부터 2024년 1월 14일(수)까지 목포해양유물전시관에서 개최한다.(개막식은 9.4. 오후 3시)
* 山島海道 舟載陶器 : 송나라 사신 서긍이 1123년 고려 방문 당시 경과와 견문을 적은 여행보고서인 ≪선화봉사고려도경宣和奉使高麗圖經≫권제32 기명(器皿) 관련 내용에서 차용
우리에게 친숙한 도기(陶器)는 선사시대부터 통일신라시대까지 그릇문화의 중심에 있었으며, 자기(磁器)의 시대인 고려~조선 그리고 오늘날까지도 질그릇, 옹기라는 이름으로 변함없는 가치를 이어오고 있다.
이번 전시에서는 해양과 육상 유적에서 출토된 고려도기를 비롯하여 도기와 관련한 고문헌과 회화, 재현 도기, 영상콘텐츠, 모형 등 270여 점을 감상할 수 있다. 먼저, ▲ 1부에서는 <그릇문화 1만 년과 고려도기>를 주제로 우리나라 그릇문화의 역사 속 도기의 특징과 제작 기술을 소개하고 생활·분묘(무덤)유적 출토 도기 70여 점을 선보인다.
▲ 2부 <고려, 푸르고 검은빛 그릇의 공존>에서는 동시대 절정기를 이룬 고품격 도기와 청자, 고려 왕실의 술을 의미하는 「양온(良醞)」이 새겨진 도기 술병(서울시유형문화재), 각종 의례용 도기 등을 감상할 수 있다.
* 양온(良醞) : ‘맛있는 술을 빚는다’는 뜻으로, 고려시대에는 왕이 마시는 술을 양온이라 하였고, 왕실과 국가의례에 사용하는 술을 담당하는 관청 ‘양온서(良醞署)’가 있었다.
▲ 3부 <고려도기의 길, 바닷길>은 고려시대 침몰선 ‘태안 마도1·2·3호선’에서 건져낸 유물들을 중심으로 지역 토산품 포장 운송용, 선상생활용, 도량형 용기 등 도기의 다양한 용도에 대해 이해할 수 있는 전시이다. 특히 고려 무신정권기 최고위층과 권력 기관들에 보내는 풍요로운 물산이 실렸던 마도3호선의 이야기를 다양한 연출 영상과 모형으로 흥미롭게 조명하였다.
* 물산: 그 지방에서 생산되는 물품
전시는 오는 9월 5일부터 매주 화요일~일요일 오전 9시에서 오후 6시까지 무료로 관람할 수 있다. 아울러 10월 20일(금)에는 고려도기의 가치를 조명하는 국제학술대회도 개최할 예정이다. 자세한 내용은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목포해양유물전시관 누리집(www.seamuse.go.kr/mokpo)에서 확인할 수 있다.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앞으로도 일반 대중들에게 새로운 발굴 자료와 연구 성과를 공유할 수 있는 다양한 전시를 기획하여 적극행정을 실현해나갈 계획이다.
<저작권자 ⓒ 미디어경제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최신뉴스
네이버, 사업 확장기 스마트스토어 위한 엑셀러레이터 프로그램 시작 … IP 발굴, 투자 연계 등 돕는다
옥션, 21일 단 하루 CJ제일제당과 ‘극한특가’… 냉면, 비비고 왕교자 등 여름 시즌 쟁여두기용 식품 할인 판매
CJ제일제당, 복날 맞아 ‘보양 간편식 기획전’ 진행…“비비고 삼계탕 싸게 사세요”
행안부, 집중호우 지역주민의 일상 복귀·피해 복구 총력 지원
행정안전부는 전국적인 집중호우에 따른 피해 복구와 이재민 구호를 위해 지자체가 활용할 수 있는 수단을 최대한 동원할 수 있게 지원하겠다고 21일 밝혔다.이는 이번 집중호우가 단기간에 특정 지역을 가리지 않고 전국에서 발생해 복구 기간에 이재민의 불편함을 최소화하고 조속히 일상생활로 복귀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함이다.먼저, 행안부는 구호물품과 임시 주거시설 지원 등 긴급한 피해 복구를 위해 지자체의 예비비 또는 재난관리기금 등 즉시 동원할 수 있는 재원을 적극 활용하도록 이날 각 지방자치단체에 안내했다.또한, 응급 복구를 위한 장비 임차, 임시구호시설 설치 등에 대해서는 계약 절차로 구호 활동이 지연되지 않도록 수의계약 또는 계약심사 면제 등의 계약상 특례 제도를 적극 활용할 것을 요청했다.이에 더해, 피해
폐식용유·커피찌꺼기·쌀겨 등 재활용 쉬워진다…'순환자원' 지정